KB국민카드 KB Pay
통합 서비스 연계 및 확대
2020FinanceApp
Scroll to Explore

Overview

간편 결제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정부의 가맹점 수수료 인하 정책으로 인해 계좌기반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습니다. 그에 맞춰 자체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시장을 접근하였습니다.
또한, 오프라인 카드 중심에서 페이앱 서비스로 재편하여 고객 이용편의성 개선을 위해 서비스 활성화를 추진하였습니다.

Project Approach

금융 산업의 경계가 사라지고 카드사의 본래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들의 니즈와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면서 사용자의 소비 접점을 확대할 수 있는 페이 서비스 중심으로 변환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생활 접점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소비 정보를 기반으로 자산/지출 패턴이 생성되고,
사용자의 데이터와 KB 인프라가 결합되어 더 고도화된 소비/혜택/관리의 맞춤화를 제공해야합니다.

User
Needs
편의성 높은 결제
합리적 지출/소비관리
즉각/범용적인 혜택
KB Pay
Platform
적절성
다양성
명확성

Outcome

오픈뱅킹

일상에서 친숙한 MBTI와 유사한 WMTI(Wealth Management Type Indicator)를
통해 개인별 투자성향 정보를 안내하여 흥미로운 자산관리 서비스로 인식을 유도합니다.

홈 앱(카드 본업) 기능 적용

내 정보를 누르면 나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합니다.

홈 앱 통합

다양한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투자 목표와 목표 별 상품가입 동기를 불러 일으키는
목표 이미지의 감성적 표현에 중점을 둡니다.

Project Retrospective

유플리트는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회고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함께 들어볼까요?

프로젝트(또는 운영)의 UX/UI 전략이 궁금합니다.

기존 금융 산업에서 경쟁은 이제 무의미 합니다, 고객의 소비 접점에 있는 모든 서비스가 경쟁 상대입니다. 때문에, 카드 기반에서 페이 기반으로 소비 접점을 확보하여, 자산/지출 관리 서비스를 아우르는 ‘데이터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해야 합니다. KB Pay는 지출/소비를 돕는 것으로 시작해, 자산/지출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소비 습관을 가이드해서 돈을 모으고 자산을 형성하도록 돕는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소통이 매우 중요한데 소통이 잘되게 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썼나요?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은 부서별 협업이 잘 이루어진데 있다고 봅니다. 이는 소통에서 비롯되었으며, 소통은 스크럼 및 팀원들간 끊임없는 대화를 이끌어냈고, 이는 곧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서로간 업무 스타일을 이해하고 어떤 부분이 어려운지 확인해 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기획파트는 현업의 잦은 변경 요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디자인의 컨펌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떻게 변경 작업을 진행하는지, 이에 따른 일정에 차질이 발생함에 대해 서로간 협의점을 찾고 보완해 가는 과정을 이해했으면 합니다.